본문 바로가기

휴지통

[함정 무기체계 1편] 함정의 분류 [함정 무기체계 1편] 함정의 분류 함정의 분류는 2차 세계대전까지는 탑재 무기체계와 톤수에 의한 구분이 가능하였지만, 오늘날 이러한 함종을 명확히 규정하는 것은 없으며, 실제로 순양함, 구축함, 호위함, 초계함 등을 규정하기 모호하여 각국별로 상이하다. 함정분류 함 정 약 호 항공모함 CV Aircraft Carrier 잠수함(정) SS Submarine 순양함 C Cruiser 구축함 DD Destroyer 호위함 FF Frigate 초계함 P Corvette 고속정 P Patrol Boat 상륙함정 L Amphibious Ship 기뢰전함정 M Minewarfare Ship 지원함정 A Auxiliary Ship 함정 약호에 붙여지는 문자는 아래표와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예: CVL 경항공모.. 더보기
[기동 무기체계 15편] 미래전차의 발전추세 [기동 무기체계 15편] 미래전차의 발전추세  세계각국은 미래전에 대비하여 지상전의 핵심무기체계인 전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각국의 미래전차는 소형화·경량화와 함께 전자장비와 발달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화, 디지털화 될 전망이며 특히 정보통신의 발달에따라 정보공유를 통해 통합된 전투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 방호력동력장치의 소형 고출력화, 각 기능장치의 소형화 및 집중화, 자동장전장치에 따른 승무원의 감소 등을 통하여 전차의 체적을 감소시켜적에 의한 피탐지율 및 피탄율이 향상될 것이다. 장갑측면에 있어 장갑판재의 개발과 설계의 혁신으로 방호력이 증대되고, 능동방호시스템 채택으로 적의 위협을 사전에 탐지 및 경고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거나 피해를 최소화 되도록 발전.. 더보기
[기동 무기체계 14편] 차량전자화(Vetronics)란 무엇인가? [기동 무기체계 14편] 차량전자화(Vetronics)란 무엇인가? 공군에서 F-16, F/A-18 등 전투기의 항법시스템, 화기관제장치, 데이터 통신 등을 하나의 통합시스템으로 구성한 것을 항공(aviation)과 전자장비(electronics)를 합성하여 애비오닉스(avionics)라 부른다. 이러한 Avionics 개념을 전차 등 기동장비에 적용한 것이 베트로닉스(Vetronics)인데 이는 Vehicle과 Electronics의 합성어로 컴퓨터, 통신장비, 데이터 버스 시스템 및 각종 센서 등 전차에 탑재되는 전자장비의 통합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즉 기존의 전기적 연결에서 탈피하여 전자관련 구성품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전자장비 구성품간의 인터페이스 및 운용.. 더보기
M3 105mm 곡사포 M3 105mm 곡사포 우리 육군 포병이 최초로 보유한 야포는 M3 105mm 곡사포였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육군 사단 포병의 주력장비는 M3 곡사포가 아닌 M2 105mm 곡사포였다. M3 곡사포는 M2 곡사포를 공수 부대용으로 경량화 한 것. 다시 말해 M3 곡사포는 일반적인 표준형이 아니라 공중에서 투하할 수 있도록 가볍게 제작한 야포였다. 미국은 원래 제1차 세계대전 무렵까지 차량이 아닌 말(馬)로 견인하는 75mm급 곡사 포를 주력으로 사용했다. 1920년부터 신형 105mm 곡사포를 개발하기 시작, 1928년 M1 105mm곡사포를 개발 완료했지만 대량으로 양산하지는 않았다. 1940년 M1을 개량한 M2 105mm 곡사포를 처음 개발하고 1942, 43년 개량형인 M2A1과 M2A2.. 더보기
[기동 무기체계 13편] 능동방호란? [기동 무기체계 13편] 능동방호란? 능동방호란 대전차 위협수단으로부터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의 접근을 조기에 탐지하여 대응파괴탄으로 미사일을 무력화(Hard Kill)하거나, 미사일의 조준/탐색기능을 마비시켜 회피기동(Soft Kill)하는 대응수단을 말한다. 수동 및 반능동 장갑이 일단 피탄된 후 방호효과를 발휘하는데 비해 능동장갑은 피탄 전에 미리 위협요소를 제거하도록 설계된 장갑체계 로 적의 대전차 로켓이나 미사일을 사전에 탐지하여 전차에 도달 전 폭발장약이나 대응미사일로 파괴하거나 무력화시킨다. 능동방호가 고려되는 것은 대전차무기의 발달로 관통력과 명중률이 크게 향상되어 수동 또는 반능동 장갑으로 이러한 대전차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장갑을 두껍게 해야 하는데 이는 결국 전차중량을 증가시켜.. 더보기
[기동 무기체계 12편] 전차의 방어에 관하여 [기동 무기체계 12편] 전차의 방어에 관하여 ◆ 전차 장갑을 경사지게 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전차의 포탑이나 차체 표면은 경사지게 제작되었는데, 이는 전차의 방호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장갑을 경사장갑이라 한다. 즉, 탄의 에너지가 장갑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장갑판의 경사를 이용하여 장갑의 방호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경사장갑은 별도의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없이 장갑판재의 각도변화만으로 큰 방호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거의 모든 장갑에경사를 적용하고 있다. 장갑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방호력이 향상되는 이유는 실질적인 관통길이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림1은 전차장갑의 경사와 관통길이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장갑두께를 T, 유효두께(탄의 실제 관통거리)를 T', 장갑의 수직 방향 경.. 더보기
[기동 무기체계 11편] 전차의 기동간 사격 [기동 무기체계 11편] 전차의 기동간 사격 소총사격을 해 본 경험이 있다면 기동중인 전차속에서 표적에 명중시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런데 전차는 기동간에도 사격이 가능한데 그 원리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안정화장치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안정화장치는 전차가 굴곡된 노면 및 커브길을 주행할 때 이로 인해 발생되는 차체의 요잉¹ 및 포탑의 피칭² 운동 등을 자이로로 감지하여 변화된 값만큼 유압을 작동하여 그 영향을 상쇄시킴으로써 포 및 포탑을 안정화시킨다. 전차의 포 및 포탑 안정화장치는 그림1과 같이 3개의 자이로, 포수전동 손잡이, 포 및 포탑 구동 전자유닛, 2개의 서보, 고저 및 선회장치 로 구성되어 있다. 전차에는 기준자이로 포탑/차체 전방 이송자이로가 있는데, 포탑.. 더보기
[기동 무기체계 10편] 야간작전 및 정확한 야간사격기능의 발전 [기동 무기체계 10편] 야간작전 및 정확한 야간사격기능의 발전 2차 세계대전시 전차의 야간 표적탐지의 한계를 절감하여 전쟁이 끝난 후 야시장비가 개발되었다. 최초에는 탐조등 또는 적외선 조사(照射)후 반사파를 감지한 능동형 관측장치가 사용되었으나, 빛을 증폭시켜 관측이 가능토록 한 미광 (微光)증폭방식을 거쳐 현재는 대부분 열상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열상장비란 주·야간 빛의 유무와 관계 없이 뭋레가 방출하는 적외선 영역의 에너지 차이(온도)를 영상화하는 전자 광학장치로 표적과 배경과의 발산온도차를 이용하여 표적을 식별한다. 전차에는 전차장 조준경과 포수 조준경이 장착되어 있어 주·야간 및 안개, 연막 등의 상황에서 전차장과 포수가 동시에 관측이 가능하며 정지 및 기동간에 표적을 탐지, 식별, 조준 및 .. 더보기
38식 소총과 99식 소총 38식 소총과 99식 소총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완전히 끝났다. 미국· 소련·중국 등 전승국은 각자 관할 구역에서 항복한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했다. 소련군 과 중국군은 일본 무기를 사용할 목적으로 보관했지만 일본 본토로 진주한 미군들은 압수한 일본군 무기를 대부분 폐기했다. 하지만 한반도 남부 지역에 진주한 미 육군 제 24군단은 38식 소총·99식 소총 등 일본 의 소화기(小火器)류를 남겨두었다. 이들 일본군 소총은 그 후 국군의 전신인 국방경 비대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됐으며 그중 일부는 1948년 국군 정식 발족 후에도 사용하 게 된다.국군이 보유한 최초의 소총은 일본제 38식·99식 소총이었던 것이다. 38식·99식 소총은 어떤 총일까. 38식 소총은 .. 더보기
[기동 무기체계 9편] 포구감지기 [기동 무기체계 9편] 포구감지기 전차는 타 무기에 비해 긴 포신을 가지고 있으며 포신이 지면과 거의 수평상태로 평상시에도 미세하게 아래로 처지게 되며, 특히 연속사격 시 포신의 온도상승과 포신의 부위별 온도차이로 인하여 포신이 휘거나 처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주포처짐(gun bending)이라 한다. 포구감지기(MRS, Muzzle Reference System)는 포신의 끝에 부착되어 포신의 처짐량을 감지하여 포구기준점을 제공함으로써 주포처짐 으로 인한 명중률 저하를 방지한다. 즉 그림1과 같이 포수조준경을 통해 포구감지기를 관측하여 포구감지기 및 포수조준경의 조준선 일치여부로 주포의 처짐량을 알 수 있는 데, 조준선이 일치하지 않으면 주포처짐이 발생한 것으로 이 변위된 값이 처짐량으로 이에 해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