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폭탄 전장을 변화시키다
![](http://ncc.phinf.naver.net/ncc02/2010/12/20/261/17.jpg)
스마트폭탄은 지난 1991년 걸프전에서 전쟁 상황이 실시간으로 TV 방송을 통해 보도되면서 그 위력을 대중에 유감없이 선보였다. 특히 걸프전에서는 새로운 작전 개념으로 동시에 대규모 목표를 타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150여 개의 표적을 24시간 이내에 공격하였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때에 B-17과 B-24 같은 대형 폭격기로 유럽을 1942년과 1943년에 공격하기로 계획했던 것보다 더 많은 표적을 단 하루 만에 공격한 것이다. 하지만 걸프전에서 사용된 스마트폭탄은 전체 폭탄의 8%에 불과했다. 반면 2003년의 이라크전에서 사용된 스마트폭탄은 전체 폭탄의 68%로 대폭 늘어났다. 스마트폭탄의 사용량에 비례하듯 이라크의 정규작전은 '충격과 공포'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내고 불과 1달여 만에 끝나고 말았다.
스마트폭탄의 원조는 독일
![](http://ncc.phinf.naver.net/ncc02/2010/12/20/261/17.jpg)
걸프전과 이라크전을 통해 스마트폭탄이 미군에 의해 대량 사용되면서 스마트폭탄이 미국에 의해 개발되었을 것이라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 스마트폭탄의 원조는 독일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이 개발한 중장갑 목표 타격용 프리츠-X(Fritz-X)가 역사상 최초의 스마트폭탄이었다. 스페인 내전 당시 독일공군 루프트바페는 이동 중인 함정에 대한 폭격이 일반적인 범용폭탄으로는 힘들자 스마트폭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프리츠-X는 길이 3.3m 무게 1.4톤의 초강력 폭탄에 폭 1.4m의 날개, 조절판, 꼬리날개, 유도 장치와 점광 신호기 등으로 구성된다. 폭탄의 유도과정은 폭격기에 탑승한 승무원이 점광 신호기로 폭탄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라디오 원격 조정으로 낙하 궤도를 수정해 목표물에 폭탄을 명중시킨다. 1938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프리츠-X는 1943년 7월 21일에 실전 배치 되었다. 프리츠-X를 이용한 폭격은 8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이탈리아 시실리 항구와 메디나 해협의 연합군 목표물에 대한 폭격이 감행되었다. 하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그러나 9월 9일 단 세 발의 프리츠-X가 이탈리아 해군의 만재 배수량 4만 5천 톤의 최신형 전함 비토리오 베네토급 3척 중 1척을 침몰시키고 다른 1척을 항행 불능에 빠뜨리면서 전쟁의 양상을 바꾸는 스마트폭탄의 존재를 세상에 처음으로 알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