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지통

전략정찰기- SR-71과 U-2

SR-71과 U-2

‘역사상 가장 빠른 제트기’, ‘ 총탄보다 빠른 마하 3의 정찰기’ 미국의 전략 정찰기 SR-71 앞에 항상 따라 붙는 수식어다.  기체가 온통 검은색이어서 ‘블랙 버드(Black Bird)’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SR-71은 1950년대 개발됐고 이제는 퇴역한 항공기이지만 주로 1970년대 세운 신기록들이 여전히 깨지지 않고 있어 전설로 남아 있다. 1974년 9월 SR-71A는 런던에서 로스엔젤레스까지 1시간 54분만에 비행, 평균 시속 1,435마일이라는 비행기록을 세웠고 1976년 7월에는 8만 5000 피트(약 25.9km)의 순항고도 기록을 세웠다.

 


역사상 가장 빠르고 높게 나는 제트기, SR-71


8만 5천 피트(약 25.9km)의 고공에서 음속의 3.3배에 달하는 마하 3.3의 순항속도로 비행할 수 있는 제트기는 지금까지 SR-71이 유일하다. SR-71보다 빠른 항공기로는 실험기인 X-15(시속 4000마일 기록)가 있지만 이는 로켓엔진에 의해 비행했기 때문에 제트 엔진인 SR-71과 다르다. 구소련의 전투기 MIG-25가 마하 3의 전투기로 유명했지만 불과 몇 분 동안만 마하 3의 초고속으로 비행할 수 있었다.
 
SR-71은 50여 년 전인 1950년대 중반 개발이 시작돼 1960년대 중반 실전배치됐다.  왜, 그리고 어떻게 약 50년 전에 이렇게 놀라운 항공기가 만들어졌을까. 1950년대 중반 미 공군과 CIA는 U-2 정찰기를 대체, 적 방공망을 피해 더 높이 그리고 더 빨리 비행할 수 있는 항공기를 원했다. 1955년에 등장한 U-2정찰기는 구 소련의 요격기들이 상승할 수 있는 고도보다 높이 비행해 소련 영공을 드나들며 정찰활동을 하고 있었지만 구 소련의 대공미사일이 급속히 발전, 1950년대 후반이면 U-2를 격추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가장 빠르고 높이 나는 제트기, SR-71

 

 

신형 항공기 개발은 ‘OXCART 프로젝트’라는 명칭이 붙었다. 이 프로젝트는 U-2 개발로 유명한 미 록히드사의 전설적인 극비 프로젝트팀 ‘스컹크 웤스(Skunk Works)’팀이 맡았다. 1960년5월 U-2기가 구 소련의 대공미사일에 격추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신형 정찰기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OXCART 프로젝트’를 통해 등장한 SR-71의 요구성능은 순항속도 마하 3.29에 운용고도 9만 피트라는, 당시로서는 엄청난 수준이었다.  마하 3 이상의 고속비행에서는 대기와의 마찰열 때문에 기체 표면온도가 260도 이상으로 상승하고 엔진 배기부는 1000도 이상까지 올라간다.  일반 항공기 소재는 이러한 온도에서 견딜 수 없기 때문에 SR-71은 기체의 대부분이 타이타늄으로 제작됐다.  기체 표면에는 적 레이더 전파를 흡수하고 표면 마찰온도를 낮추기 위해 특수 검정 페인트가 칠해졌다.

 

마하 3의 초고속에서 작동할 수 있는 특수 신형엔진의 개발도 추진돼 기존 터보제트 엔진 구조를 활용, 추력을 극대화시킨 프랫 & 휘트니의 J-58 터보램제트 엔진이 쌍발로 탑재됐다.  SR-71은 빠른 속도만큼 놀라운 정찰능력을 자랑했다. 8만 피트(약 24km) 고공에서 시간당 10만 평방 마일의 지구 표면을 정찰할 수 있었다.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8만 피트 상공에서 골프장의 골프공을 촬영할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광학 정찰장비외에 전자정보 수집장비(ELINT), 적외선 정찰장비 등을 탑재해 임무에 맞게 사용했다. 


SR-71은 총 31대가 생산됐으며 미 공군ㆍ해군 및 나사에서 운용됐으나 사고로 인해 총 12대를 잃었다.  1990년 높은 유지비용과 정찰위성의 발달로 26년간의 정찰임무를 마치고 퇴역했다가 95년부터 97년까지 일시적으로 2대가 작전에 복귀했지만 결국 SR-71 프로그램은 1998년 완전 폐기됐다. SR-71은 1960~80년대 한반도 긴장사태 발생시에도 수시로 출동해 정찰활동을 벌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81년8월 북한은 서해상을 비행중이던 SR-71을 향해 SA-2 대공미사일을 발사했으나 SR-71의 빠른 속도와 높은 고도 때문에 명중시키지 못했다고 한다.

 


현재도 최일선에서 활약하는 정찰기 U-2


SR-71과 함께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정찰기는 U-2다.  SR-71에 앞서 개발됐지만 5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최일선에서 활약하는 장수 항공기다.  2010년 11월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대북 정보감시태세 ‘워치콘’이 격상됨에 따라 더욱 바빠진 항공기가 주한미군의 U-2 정찰기다. 오산기지에서 출동하는 U-2 정찰기는 매일 한차례 비무장지대(DMZ) 인근 상공을 비행하면서 북한군 동향을 감시하고 있다. U-2기는 원래 고도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개발된 전략 정찰기다.  적군 병력이나 장비의 배치, 이동상황 등을 정찰하는 전술정찰보다는 적국의 전략무기 배치상황, 군수산업 능력 등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이 때문에 U-2가 개발자금을 댄 것도 미 공군이 아니라 미 CIA였다.  SR-71처럼 미 록히드사의 ‘스컹크 웤스’팀이 개발에 참여했다.

 

U-2기는 1955년 8월 첫 비행을 한 뒤 이듬해부터 동유럽과 구 소련 영공 내에서 정찰비행을 시작했다. 보통 7만 피트(21km) 이상의 고공을 비행했으며 당시 요격전투기나 지대공 미사일이 도달할 수 없는 고도여서 적대국 상공에 직접 날아들어가 정찰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U-2기 천하’는 오래가지 못했다. 1960년 5월 1일 프란시스 게리 파워즈가 조종한 U-2가 소련의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되면서 큰 파문이 일었던 것이다.

 

50년 이상 최일선에서 활약하는 U-2 정찰기

U-2의 조종사는 우주복과 비슷한 비행복을 착용한다.

 

그뒤 소련 상공 비행은 전면 중단됐지만 쿠바ㆍ중국ㆍ베트남ㆍ북한ㆍ중동 국가 등을 상대로 한 정찰비행은 계속됐다.  중국 본토 정찰은 대만 공군 조종사에 의해 실시됐는데 일부 U-2기가 중국 대공미사일에 의해 격추됐고 그 잔해들이 지금도 중국에서 전시되고 있다. U-2는 1962년 10월 쿠바 위기 사태 때 소련 중거리 탄도 미사일의 쿠바 배치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 사진을 촬영해 다시 한번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미 공군은 현재 운용 중인 U-2기를 2012년까지 퇴역시키고 장거리 고고도 무인정찰기인 ‘글로벌 호크’로 대체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럴 경우 U-2기는 마지막 유인 전략정찰기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될 전망이다.

 

 

전략 정찰기 RC-135

전략 정찰기 RC-135

 

 

U-2기와 함께 한반도 안보상황과 관련해 자주 등장하는 미국 전략 정찰기는 RC-135다.  RC-135는 여러 유형이 있는데 RC-135S ‘코브라 볼’은 북한 대포동2호 발사 등 북한 미사일 시험이 있을 때마다 동해상에 출동해 북 미사일의 궤적 등을 추적한다. RC-135V/W ‘리벳 조인트’는 북한군 교신 등 신호 및 통신정보를 주로 수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