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무기 체계 4편] 폭격기
폭격기(Bomber)는 적국의 군사목표는 물론 전선 전후방에 위치한 전략적 목표 및 산업기반 자체를 초토화시켜 전쟁의지를 무력화시키는
역할을 주 임무로 하는 항공기를 말한다.
폭격기가 공중에서 폭격하는 방식은 적지침투 후 다량의 재래식 폭탄을 투하하거나, 재래식 폭탄에 화력통제장비를 연동 또는 유도장치를
장착하여 정밀도를 높인 폭탄을 투하하거나, 아니면 고도의 정밀도를 가진 공중발사미사일을 발사하는 방식 등이다. 현대의 폭격기는
이와 같은 방식 모두를 다 활용할 수 잇는데, 이 가운데 공중발사 순항미사일(ALCM: Air Launched Cruise Missile)을 고고도에서 발사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미국의 B-52. B-1B, B-2 등과 구소련의 TU-26, 95, 160 등은 상당히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폭격기는 수십톤의 무장탑재로 인해 기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민첩한 현대의 초음속 전투기에 취약한 존재일 수 밖에 없었
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구소련에서는 마하 2.0 이상의 고기동성을 갖는 폭격기인 T-26과 T-160을 개발하였고, 반면에 미국은 속도
보다는 자체 생존성이 탁월한 B-2 Spirit 스텔스기를 개발하였다.
현대의 전략폭격기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및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Submarine-Launched BM)과 더불어 초강대국간의 전쟁억제력으로 운용되고 있다.
|
|
구분 | T-26 | B-2 |
기장(m) | 39.6 | 21.03 |
기폭(m) | 23.4-34.3 | 52.43 |
기고(m) | 10.8 | 5.18 |
최대이륙중량 | 127톤 | 167톤 |
자체중량(톤) | 55 | 73 |
최대속도(마하) | 2.0 | 0.85 |
항속거리(km) | 8,520 | 12,223 |
최대 무장(톤) | 26 | 23 |
전략폭격기가 ICBM이나 SLBM에 비해 목표도달시간이 길고 적의 방공망에 취약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전쟁억제력을 갖는 이유는,
운용상의 융통성과 유사시 핵탄두 순항미사일을 탑재하여 핵 보복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장차 폭격기는 정밀도가 높아진 순항 미사일을 포함한 공중발사 미사일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장거리 저공침투를
위해서 저고도 초음속 폭격기나, 순항미사일 및 다량의 재래식 폭탄을 탑재한 채로 고고도에서 은밀하게 침투 가능한 스텔스기를 개발
시켜 나가고 있다.
<참고자료: 방위사업청 무기체계 자료실>
'휴지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무기 체계 6편] 전자전기 (0) | 2011.10.26 |
---|---|
[항공무기 체계 5편] 수송기 (0) | 2011.10.26 |
[항공무기 체계 3편] 공격기 (0) | 2011.10.26 |
81mm 박격포의 일생 (0) | 2011.10.24 |
[항공무기 체계 2편] 전투기 (0) | 201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