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동 무기체계 1편] 전차의 발전
전차는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
|
|
가. 1세대 전차
1916년 솜므전투에서 최초로 영국이 49대의 마크 I 전차를 운용한 것을 시작으로 1차 세계대전 직후부터 1950년대에 개발된 전차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추고 있다.
① 구경 90mm급 주포, ② 전차의 기동가능 최대허용범위 내에서 장갑의 방호력 강화, ③ 합리적인 차체 설계, ④ 비교적 높은 기동성 등
1세대의 대표적인 전차로는 소련 주력전차(MBT: Main Battle Tank)의 시초이며 한국전에도 참가한 T-34전차, 미국의 M-26 Pershing
전차와 이를 기본으로 엔진과 밋숀을 개량한 M-46 Patton 전차 등이 있다.
<미국의 M-46 패튼전차>
▲ 미국의 패튼계열 전차중 최초의 전차로서 1949년도에 M26전차와 대치하여 운용됨으로써 당시로서는 최신의 전차였으며,
1950.9월에 미 보병 제 21연대 C중대에 편제되어 포항전투에 참전맹활약을 하였으며,
당시 다른 전차에 비해 제자리에서 선회가 가능하고, 장갑이 두꺼워 방호력이 우수하였음
나. 2세대 전차
2세대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로 2차 세계대전 후의 기술혁신을 통해 신기술을 도입하여 1세대 전차보다 화력과 기동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
|
방호력면에서는 화생방 방어능력을 구비하였으나 대전차 미사일의 출현으로 오히려 방호력이 취약한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2세대의 대표적인 전차는 둥근 계란모양의 포탑에 100mm포를 장착한 소련의 T-54 및 115mm 활강포를 탑재한 T-62 그리고 105mm 주포와
새로운 사격통제시스템을 구비한 미국의 M-60전차, 독일의 레오파드 I, 스웨덴의 S전차, 영국의 센츄리온 등이 있다.
다. 3세대 전차
1970년대 후반부터 전차는 2세대에 비해보다 많은 신기술을 적용하여 전자장비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특히 방호력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전체적으로 제 3세대 전차의 주요특징은 아래와 같다. 화력면에서 ① 120mm급 활강포 장착 및 날개안정 분리철갑탄(APFSDS: Armor
Piercing Fin Stabilized Discarding Sabot) 채택, ② 반자동 또는 자동장전시스템에 의한 승무원 수 감소(4명에서 3명으로) , ③ 다양한
사격제원의 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사격통제시스템 적용, ④ 야시장비에 의한 야간전투능력 구비 등 전자장비에 의해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기동력면에서는 경량·고출력의 가스터빈엔진을 채택하였으며, 방호력면에서 ① 복합장갑, 유격장갑(Space Armor)의 채택으로 인한
방호력 향상, ② 피탄시 탄약·연료 폭발로 인한 승무원 및 내부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내부 격실화 시스템, ③ 장차 장갑성능개량에 대비
한 가변형 장갑을 채택하였다. 제3세대의 주력전차는 러시아의 T-72, 미국의 M1, 영국의 챌린저, 서독의 레오파드II 등이 있다.
<국내에도 도입/배치된 러시아의 T-80>
라. 잠정세대(3.5세대)
|
'휴지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동 무기체계 3편] 전차의 진행원리 및 방향전환 원리 (0) | 2011.10.27 |
---|---|
[기동 무기체계 2편] 전차의 구성 (0) | 2011.10.27 |
[항공무기 체계 8편] 기타 공군무기 (0) | 2011.10.26 |
[항공무기 체계 7편] 정찰기 (0) | 2011.10.26 |
[항공무기 체계 6편] 전자전기 (0) | 201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