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보는 세상 회문시란 머리에서부터 내리읽으나 아래에서부터 올려 읽으나 뜻이 통하고 운(韻)이 맞는 한시(漢詩)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이인로는 이런 시를 썼다. 早學九遊宦 일찍이 학문하여 벼슬을 구했으나 詩成謾苦辛 시짓기는 부질없이 힘만 드누나 老懷春絮亂 늙은 속마음은 봄 버들가지처럼 어지럽고 衰鬢曉霜新 드문 머리카락은 새벽에 서리가 앉는구나 倒甑朝炊斷 가마솥 엎어지니 아침밥 못 짓겟고 饑腸夜孔藩 주린 창자는 밤에도 소리 나네 報恩心欸欸 성은을 갚으려는 마음 간절하지만 誰是救枯鱗 말라가는 물고기를 구할 사람 그 누군가 - 상권 16조 가난한 선비가 벼슬길에 오르지 못하고 늙어가는 속마음을 노래한 시다. (한때 이인로 자신의 처지이기도 하다.) '5언 율시'로서 2, 4, 6, 8행의 각운을 맞추어야 하는데 辛(신), .. 더보기 셰익스피어 미스터리 윌리엄 셰익스피어 (William Shakespeare, 1564~1616) 영국이 낳은 대문호, 세계 최고의 극작가. 토머스 칼라일(Thomas Carlyle)이 "인도와도 바꾸지 않겠다"고 단언했던, 대영제국의 국보(國寶). 그런데 그가 가짜라면? ... 오래 전부터 그런 믿지 못할 이야기가 들려온다. 셰익스피어는 가짜라고, 우리가 알고 있는 과 을 쓴 사람은 셰익스피어가 아닌 딴 사람이라고, 어쩌면 그는 아예 애초부터 가공의 인물이었는지 모른다고... 실은 굉장히 유명해 많은 사람들이 들어봤을 그 '소문'을 여기 정리해 올린다. 최근 그와 관련해 나름대로의 답과 큰 깨달음을 얻었기 때문이다. '셰익스피어 미스터리'는 한마디로 '저작성 논쟁(authorship debate)'이다. '4대 비극'과 같.. 더보기 지금은 3D시대 요즘 최고의 이슈는 단연 '3D(3차원 입체영상)'다. 영화 덕분에 대중적으로도 친숙해진 이 말은, 실은 이미 몇 해 전부터 영화, 방송, 게임, 가전 등 산업계 전반에서 뜨거운 화두가 되어 온 개념이다. 나는 신년 계획 가운데 하나로 '3D 공부'를 삼았다. 아직 도 못 본 주제에 올해 안에 '3D 실험작' 한편 만들겠다는 목표로 정진하리라! ... 현재까지의 공부노트를 여기 적어둔다. 모든 것은 우리들 눈이 '2개'라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가로로 6.5cm 정도 떨어져 있는 인간의 눈... 그 결과 좌,우의 눈이 각기 다른 화상을 보게 된다. 이를 '양안시차(兩眼視差)'라고 한다. 양쪽 눈의 망막에 맺히는 상이 차이가 있다는 의미이다. 이 양안시차가 바로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두 개의.. 더보기 이전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