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지통

[기동 무기체계 8편] 자동장전장치

[기동 무기체계 8편] 자동장전장치

 

 

자동장전장치란 탄약수가 수동으로 하던 탄약장전을 포수가 컴퓨터를 통해 탄약이 주포 약실내로 자동공급되도록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장전장치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포 구경의 대형화에 따른 탄 중량 및 길이의 증대로 탄약수가 협소한 공간에서

수동으로 탄을 장전하는 것이 점점 어렵게 되었고, 특히 포 및 포탑구동 안정화 장치의 발달로 기동간 사격이 가능해지면서 장전시 차체의

요동속에서 탄약수의 장전속도가 크게 저하되었으며 승무원의 피로도가 더욱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자동장전장치에 대해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버슬형과 캐러젤형을 중심으로 알아보겠다.

 

가. 버슬형 자동장전장치(bustle autoloader)

버슬형 자동장전장치는 포탑 후방에 타적재대가 위치하고 있으며 탄을 적재하고 선택된 탄을 장전위치로 이동시키는 탄통, 장전위치로

이동된 탄을 탄통으로부터 포미장치의 약실로 공급하는 장전기, 컴퓨터와 연결되어 탄종을 식별·선택·이송·장전 등 장전장치의 동작을

통제하는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1. 버슬형 자동장전장치>

 

포탄은 그림2의 (a)와 같이 링크로 각각 연결되었으며 장전장치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그림2. 버슬형 자동장전장치 작동원리>

 

 

탄을 자동장전장치내에 적재하면 우선적으로 탄통을 회전시켜 탄종인식기에 의해 적재된 탄의 탄종과 위치를 인식한다(①).

포수가 탄종을 선택하면 제어기내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장전기로부터 가장 가까운 탄의 위치를 확인한 후 컨베이어벨트와 유사한

운반장치에 의해 원하는 탄을 장전기 위치로 운반한다(②).

포신이 장전고각으로 구동되어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되고 약실내에 탄이 비어있는 것이 센서에 의해 확인되면 격실(승무원의 안전을 목적으로 승무원실과 자동장전 장치를 분리하기 위해 설치한 두꺼운 격벽)의 도어가 개방되면서 장전기가 작동하여 탄을 약실내로 장전하게

된다(③).

 

이후 장전기가 복귀하고 격실이 닫히면서 포는 사격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탄통에서는 다음 탄 장전준비를 위해 컨베이어를

구동하게 된다. 버슬형은 탄약을 포탑 후방에 장착함으로써 장전소요거리가 짧아 장전속도가 빠르며 승무원을 탄으로부터 완전 분리

하여 승무원의 생존성은 향상되나, 탄을 포탑에 적재함으로써 포탑 크기 증대로 인한 피격 가능성이 증대된다는 단점이 있다.

일본의 90식 전차와 프랑스의 르끌레르 전차 등이 버슬형을 자동장전장치를 채택하였다.

 

나. 캐러젤 자동장전장치(carousel autoloader)


<그림3. 캐러젤형 자동장전장치의 탄통>

포탑 아래(차체중앙)에 탄을 적재하는 방식으로 포탑하부에 탄과 장약을 분리적재하고

있는 탄통(바스켓), 탄통에서 선택된 탄을 포미 후방 장전기 위치까지 상승시켜주는

이송기, 탄 이송기에 의해 전달된 탄을 약실에 장전하는 장전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러젤형 자동장전장치의 작동원리는 그림4와 같다. 포수가 탄종을 입력하면 탄통

(바스켓)내의 탄 적치대가 회전하여 탄종을 선택된다(①). 포신이 장전고각으로 구동되

어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되고 장전기로 탄을 포착(②)하여 탄통내의 탄 이송기에 의해

주포후방에 정렬되고(④) 장전기가 탄을 장전한다(⑤).

 

이러한 캐러젤은 포탑 아래의 차체에 탄약을 배치하여 대전차탄에 의한 피격시 버슬형보다 더 안전하나 탄이 차체내부까지 관통하는

경우 포탑내부에서 승무원실과 자동장전장치와의 분리장치가 없어 장전장치 폭발시 오히려 생존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러시아의 T-64, 72, 80전차 등이 캐러젤자동장전장치를 채택하였다.

 

 

<그림4. 캐러젤형 자동장전장치>

 

이러한 자동장전장치 도입으로 탄 장전시간이 단축되었고 이로인하여 발사속도는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고속기동시 수동장전의 경우

탄약수 숙련도와 전차 주행상태에 따라 장전속도에 큰 차이가 있는데 비해 자동장전장치는 정지시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장전이 가능

하다. 또한 탄약수가 불필요하게 되어 포탑에서 탄약수가 차지하던 공간만큼 포탑공간을 감소시켜 피발견률 및 피탄면적을 줄일 수 있어

국내에서 개발될 차기전차에서도 이러한 자동장전장치가 채택될 전망이다.

 

<참고자료: 방위사업청 무기체계 자료실>
http://blog.naver.com/dapapr?Redirect=Log&logNo=110099975927